관리 메뉴

물흐르듯이 순리대로

운악산 서봉 하산길 운악산성 이야기(2016년 12월 4일) 본문

국내 山行日記/인천·경기·강원

운악산 서봉 하산길 운악산성 이야기(2016년 12월 4일)

물흐르듯이순리대로 2016. 12. 7. 10:14


운악산 서봉 정상에서 보이는 한북정맥의 산줄기가 파노라마처름 흘러내린다,

이제는 돌아가야 하는시간 날씨야 맑을수도 흐릴수도 있지만 지금 이시간 잠깐만이라도 맑았어면

다음에 또 오라는 뜻인지? 구름에 떠 있다는 운악산인데도 구름마저 볼수가 없다, ~ 

한북정맥을 이어주는 산줄기 들 ~

이제 정상에서 다시 원점으로 돌아간다, 2코스로해서 하산할 예정이였어나

내림길 몇군데가 조금 부담이 되는길이 있어 함께온 일행들의 안전을 위해서 올라온길로 다시 내려간다,

더욱이 살짝 얼어있는 길이 완전히 얼어붙은 길보다 눈이 쌓여 있는 길보다 위험하다,

 겨울산은 지금시기부터 조심하고 또 조심해서 안전하게  다녀야 하는게 제일이기 때문이다,

뒤에보이는 아름다운 암릉 줄기가 애기봉에서 이어지는 사라키바위다,

이름이 왜 사라키바위 일까?

그리고 1코스에 있는 342 계단으로 만들어진 계단길이다,

가피른 철계단도 내려서고

나무 계단길도 내려 간다,


대궐이 있었다는 대궐터도 지나가고  ~


보이는 밧줄마저 없었다면 영락없이 길을 잃어버릴것 같은 구간도 내려 간다,

운악산은 크지는 않지만 경사가 급하고 산세가 험해도. 봄에는 4월 중순에 자목련, 5월경에 진달래와

산목련이 계곡과 바위마다 흐드러지게 피고 여름에는 고사리, 취나물이 많으며, 가을에는 붉게 물든 단풍이 장관을 이루는 곳이다, 

높이 936m. 광주산맥의 여맥 중 한 산으로 북쪽으로 청계산(, 849m)과 강씨봉(, 830m)

국망봉(, 1,168m) 등으로 이어져 포천시와 가평군의 경계를 이루는 산인데 지금 이곳은 포천 지역이다,

운악산 동북쪽에는 잘알려진 화악산(, 1,468m)과 명지산(, 1,267m) 등의 명산이 있다.

 운악산성의 흔적들이 보인다, 지금은 거의 유실되였지만 원형 그대로 남아있는 곳이다,

산성은 포천과 가평 사이에 위치한 매우 험준한 운악산에 축조한 산성으로, 포천시의 화현면, 일동면, 신북면,

군내면 일대에 대한 조망이 양호한 곳에 위치하며, 운악산 서쪽 비탈면에 축조되었다.

운악산성()에 대해서는 조선 후기에 쓰인 견성지()에서 현의 동쪽 25리에 있다.

가평 현등산 서악이다. 봉우리 꼭대기에 옛 대궐 터가 있다, 라고 하는 것 이외에 이렇다 할 기록이 없다고한다.

운악산성에 대한 기록을 찾아보니~

매우 험준하고 높은 입지를 선택하여, 절벽이 많은 험준한 지대에서 전 성벽선 가운데 한정된 구역에만 쌓았다,

고 되여 있고 축성 방식은? 타() - (갈라진 여장()의 한 부분)의 구분이 없는 낮고 편평한 평여장() - (성 위에 낮게 쌓은 담)을

택하고 있다는 점이 특성이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갖는 산성은 고려시대 이후 갑작스러운 외침에 대비하여 축조한

사례가 많아서 이로 미루어 보아 고려시대에 긴급한 상황에 축조된 것이라는 추정이 유력하다고 되여 있다,.

또한 운악산성에서 발견된 기와 와 토기는 주로 고려 시대~조선 시대에 사용된 것으로

운악산성은 고려시대 거란(), 몽골(), 합단() 침입 시, 혹은 고려 말 왜구와 홍건적의 침입이

극심했든 시기에 시급히 축조되어 사용되다가 곧 폐기된 것이라고 여겨진다. 라고 되여있다,


하산은 이곳 에서 끝이난다, 이곳은 37번 국도에서 100여m 정도 떨어저 있는 곳이다,

오늘 우리가 올랐다가 하산한 코스는 1코스다, 동절기 포천운악산 등산은 가능하면 이곳 앞길에서 직진으로 올라가는

2코스로 올라갔다가 1코스로 하산하는 코스를 권한다, 2코스 하산은 다소 난이도가 높기 때문이다,

서울에서 운악산 가는 버스 팁~

운악산 가는 버스는 동서울 터미널에서 광능내까지 가는 우등시외버스를 타고 가야 한다,

도착시간은 50분~1시간 정도 걸리고 요금은 3,400원이다, 광릉내에서 약 5분정도 시내버스 종점으로 이동해 

7번 마을버스(25인승)로 환승해 30~40분을 가면 운악산 휴게소에 도착한다, 이 마을버스는 30분에 한번씩 운행한다,

산행후 가평으로 하산할 경우는 하산지점인 현등사 입구에서 청량리행 1330-44 버스가 매 30분마다 운행한다,

운행시간은 약 2시간 정도며 청량리역 4번 출구, 버스 환승센터 4번 승강장에 도착한다,

오늘은 올 일년동안 함께한 우리팀의 송년산행을 한 날이다,

갈비가 유명한 포천에 왔어니 이동갈비 한대 구워서 한잔은 해야 할것 같다,~

일년동안 함께해줘서 고맙다,

내년에도 우리 모두 건강하고 행복한 날들만 이어지길 기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