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물흐르듯이 순리대로

공묘(孔庙,kǒng miào,쿵먀오) - 6, 공자의 사상,(2018년 1월 18일) 본문

해외 旅行/중국북경여행

공묘(孔庙,kǒng miào,쿵먀오) - 6, 공자의 사상,(2018년 1월 18일)

물흐르듯이순리대로 2018. 2. 25. 06:00


비석만 가득한 비석 전시관으로 들어간다,

크고 긴방을 가득메운 많은 비석들을 보는것 만으로도 기가막히는 광경이다,

이비석들에 많은 이야기가 담겨져 있겠지만

이 많은 내용을 다 이해하고 알려면 평생공부를 해도 모자랄것 같은 생각이든다,

그래서 우선 중국고대 사상가이며 유교의 창시자인 공자에 대해 알아본다, 공자는 노나라

창형향 추업, 지금의 산동성 곡부에서 출생했다, 자는 중니(仲尼), 이름은 구(丘, 언덕구)

공자의 자몤은 존칭이다,

공자는 은(殷,성할은)나라 왕족의 혈통을 이어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태여났다,

아버지의 성은 숙량, 이름은 흘(紇)이며 어머니는 안씨 집안으로 이름은 징재다, 아버지는 제나라와의 싸움에서

군공(軍功)을 세운 부장으로 공자가 3세때 별세하여 공자는 빈곤속에 자랐다, 그러나 공자는 노나라의 창시자로 주왕조(周王朝) 건국의

공신이기도 했든 주공을 흠모하여 그 전통적 문화습득에 노력했어며, 수양을 쌓아 점차 유명해 졌다, 처음에는 말단 관리였어나,

50세가 지나서 노나라의 정공(定公)에게 중용(重用)되여, 정치가로서 탁월한 수완을 발휘한다,


공자의 생애

그의 계획은 노 나라의 실력자인 3중신의 세력을 눌러 공실(公室)의 권력을 회복하고, 주공의 정신을 살린

질서있는 문화국가를 건설하려는 것이였다, 그후 14년간 문화생을 데라고 여러나라를 돌아다니면서 유세를 계속하며

이상 실현을 꾀하였어나, 69세때 불가능함을 깨닫고 고향에 돌아가 제자들의 교육에 전념한다,

공자는 74세를 일기로 자공(子貢) 증삼(曾參)등 뛰여난 제자들이 지켜보는가운데 타계했다,

제자 3000명을 둔 공자는 이상을 미래에 건 위대한 교육자였다, 그의 언행은 논어(論語)를 통해서 전해지고

그의 사상을 알아보기위한 확실한 자료도 논어밖에 없어며 이는 제자나 제자의 제자들이 기록한것이지 공자 자신의 저술은 아니다,

오경(五經)을 편찬하였다고 전하나, 이는 교육목적에 따라서 시경(詩經) 서경(書經)등 고전을 정리했든 것으로 생각된다,

공자의사상

춘추말기, 주나라의 봉건질사가 쇠퇴하여 사회적 혼란이 심해지자, 공자는 주왕조 초의 제도로

복귀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는 위정자는 덕이 있어야 하며 도덕과 예의에 의한 교화가 이상적인 지배방법이라 생각했다,

이러한 사상의 중심에 놓인 것이 인(仁)이다, 공자는 최고의 덕을 인이라보고 인은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라 정의했다, 그리스도교의

사랑이나 불교의 자비와는 다른, 부모형제에 대한 골육의 애정 곧 효제(孝悌)를 중심으로 타인에게도 미친다는 사상이다,

모든 사람이 인덕(仁德)을 지향하고, 인덕을 갖춘 사람만이 정치적으로 높은 지위에 앉아

인애(仁愛)의 정치를 한다면, 세계의 질서도 안정을 찾을수 안정을 찾을수 있다고 생각했든 것이다, 그 수양을 위해

부모와 연장자를 공손하게 모시는 효제의 실천을 가르치고, 이를 인의 출발점으로 삼았어며 또, 충(忠) 즉 성심을 중히 여겨

그 옳고 곧은 신(信)과 서(恕)의 덕을 존중했다,

공자는 또한 인의 실천을 위해서는 예(禮)라는 형식을 밟을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예란 전통적 관습적 형식이며 사회규범으로서의 성격을 가진다, 유교에서 전통주의를 존중하고 형식을

존중하는 것은 바로 이 점에 입각한것이며, 예라는 형식에 따름으로서 인의 사회성과 객관성이

확실해진 것이다,

이처름 공자의 사상은 사회적 정치적, 인간을 위한 도덕이 중심을 이루고 있는데,

그 보편성을 보증하는 것으로서 하늘의 존재도 생각하고 있다, 공자로서는 하늘이 뜨거운 종교적 심정으로

받들어지는 불가지(不可知)의 존재였다면, 이는 인간적인 활동을 지원하는 신(神)일지언정, 인간을 압박하는 신은 아니였다,

공자의 사상은 어디까지나 인간 중심주의 였다고 할수 있다,

공자가 중국 철학사에 처음으로 통치계급의 내부관계를 조정하는 원칙으로서 하나의 도덕범주인

인을 제시 하였는데, 이는 통치계급 내부에 새로운 위기가 출현했음을 나타내는것으로 불가결한 새로운 조치였다,

그러나 공자는 노예제 사회의 종법 제도를 옹호하는 입장에 서 있었기 때문에 그의 도덕 학설도 위선과 기만적 성질을 띠지 않을수 없었다,

이로서 공자의 사상은 중국역대 통치자나 모든 착취제고의 옹호자들에게 하나의 통치 수단으로 채용 되였든 것이다,

공자는엄격한 윤리규범과 질서를 강조 하였고 아랫사람이 윗 사람을 어기거나

또는 아들이 아버지를어겼을때 모두 아주 엄중한 죄과로 인정하였다, 그의 이론에 따르면 임금은 나라를 잘 다스려야 하고

백성은 임금에게 충성하여야 하며 모든 사람이 아들이자, 아버지이며 대신일수 있는데 부동한 장소에서 엄격한 존비계선을 유지

하여야 한다, 이래야만 나라가 태평하고 인민들이 안정된 생활을 할수 있다는 것이다,


공자의 학설이 방금 나왔을때는 주류사상으로 되지못했다, 기원전 2세기 그 당시의 중국은

이미 강대하고 통일적인 중앙집권국가로 되였다, 통치자들은 공자의 이론이 봉건사회의 안정을 유지하는데

아주 적합하다고 여겨 그것을 국가의 전통적인 학설 사상으로 정하였다,

공자의 인의 학설은 역대 봉건지주계급 사상가들에 의해 지지 보완되여

3강오상(三綱五常)과 충효절의(忠孝節義)를 중심 내용으로 하는 봉건 예교 사상으로 발전하여 봉건통치를 옹호하는

냉혹한 사상적 압박 도구기 되였다,

교육자로서의 공자,

공자는 많은 제자들을 교육하여 인의 실현을 가르치는 한편, 자기자신도 그 수양에 힘써,

종심소욕불유구(從心所慾佛踰矩)라고 술회할 정도의 인격에 도달했기 때문에 생전에도 커다란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사후에는 제자들이 각지에서 그 가르침을 전파하였어나, 제자백가(諸子百家)가 일어남으로서 교세가 약해졋다,

이를 다시 일어킨 사람이 맹자(孟子)였어며 또 전국(戰國)말기에 순자(荀子)가

다른 다른학파의 사상도 받아들여 집대성 하였다, 그 후 한(漢)나라의 무제(武帝)가 유교를

국교(國敎)로 택함에 이르러 공자의 지위는확고해졋다, 사실은 각 시대의 유교 내용에는 큰 변화가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공자 자체는 이 가르침의 창시자로서 청조(淸朝) 말까지 계속 존경을 받아 왔다,

이곳 실내에 전시 되여 있는 이 비석은 모두 189개라 숫자를 쓰 놓았다,

이렇게 큰 비석들이 이곳에만 189개 라니 실로 대단하다고 밖에는 다른 말이 안나온다,

예를들어 비석이 189라면 비석에 쓰여진 글자수는 멏개나 될까, 또는 이 큰 비석들을 만드는데 들어간

시간과 돈은 또 얼마나 들었을까. 감히 엄두도 안난다,

이제 이곳을 나간다, 아무리 들여다 보아도 더 이상 무었이 무었인지 알수도 없어

베이징관광국에서 설명해놓은 공자의 일대기에 대한 자료를 기준으로 복잡하고 길게 붙여 일기를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