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물흐르듯이 순리대로

백운대에 올라(2018년 9월 23일) 본문

국내 山行日記/서울·북한·도봉

백운대에 올라(2018년 9월 23일)

물흐르듯이순리대로 2018. 9. 23. 23:02


백운봉(위문)암문 성벽을 따라 백운대로 올라간다,

초입에 만들어진 계단,

북한산성 성곽은 백운대 아래 까지 연결이 되여있다,

물론 이 구간 성벽은 새로 복원한 것이지만, 이곳에도 성곽이 있었기때뮨에 복원했을 것이다,

백운대로 오르는 입구에서 만경대 방향

오밀조밀한 바위와 바위에 붙어 살아가고 있는 소나무와

조금만 오른쪽으로 보면 노적봉 동 봉과 서봉 정상이 보인다,

그 뒤로 길게 이어저 있는 의상능선과. 비봉능선도 보이고,

의상봉 아래 북한산 국녕사와

의상능선 넘어 은평 뉴타운과 구파발일대 그리고 연신내 지역까지 보인다,

계속해서 백운대로 올라간다,

발디딜틈도 없이 붐비는 백운대 지만 오늘은  추석명절 전날이기도 하지만

아직은 아침 이른시간이라 그런지 사람이 뜸 하다, 그러다보니 막힘없이 백운대로 올라간다,

톱날처름 날카로운 만경대가 보이는 곳,

그곳 못지않게 백운대 자락 암반들도 멋스럽다 못해 귀한 보물처름 보인다,

보고 또 보고 아무리 둘러봐도 질리지도 않는 의상능선과

비봉능선 너머 서울시내,

왼족 보현봉과 대남문, 문수봉

그리고 남장대지와 나한봉, 나월봉 일대가 바로 앞에 펼처저 있다,

의상능선 너머 비봉능선,

죄로 부터 승가봉, 사모비위, 비봉, 그리고 비봉 오른쪽 치마바위와 향로봉 까지

불광동과 연신내 서울 시내와

서울도심의 정 중앙인 남산까지

이 모든 조망이 백운대로 올라가는 중간에서

보이는 전경이니 백운대 정상에서 보이는 서울은 또 어떤 모습일까?

이제 막바지 백운대 정상으로 올라가는 계단길이다,

지금은 이렇게 나무계단을 만들어 놓았지만 예전에는 쇠줄을 걸어놓고 백운대로 올랐다,

어쩌면 그때가 더 멋스럽고 아름다운 길이 아니였을까?

올라온 길을 내려더보니 거의 수직 구간이다,

서울의 동북부지역 과 강북지역

백운대 앞에 있는 인수봉,

그리고 백운대 직벽 아래 있는 백운산장이 보인다,

역사는 사람이 만드는 것이 아닐까? 백운산장의 역사도 이제는 벌서 94년이나 되였다,

북한산 최고봉 백운대 아래 해발 650m에 위치한 백운산장의 역사는

1924년 이해문씨가 움막을 만들면서 시작된다.

 그리고 이해문씨의 손자인 이영구씨가 15살때인 1946년 산장에 들어와 70년 넘게 살았다.

1971년 7명이 사망한 인수봉 참사를 비롯해 산악사건이 일어날 때마다 백운산장은 구조본부 역할을 했으며

이씨가 구조한 등산객도 100여명 이상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금 산장에 붙어있는 백운산장 한자 현판도 마라토너 손기정 옹이 썼다고 한다.

손 옹은 양정중학 산악부 출신으로 북한산 등산을 즐겼다. 또한 산장 앞마당에는 6·25전쟁 때 서울이

점령됐다는 소식에 산장에서 자결한 국군 장병 2명을 위로하는 백운의 혼 추모비가 있다. 1958년 산악인들이 세운

추모비는 이영구씨가 관리해왔으며 국가보훈시설로 지정되는 데에 큰 기여를 하기도 했다. 

  70년을 백운산장을 지켜온 산장지기 이영구씨가 2018년 8월 3일 별세했다.

고인은 국내 최초의 민간산장인 백운산장을 3대째 맡아오며 북한산을 등반하는 산악인의 쉼터로 운영해왔다.

지금 백운산장은 국립공단에서 철거소송을 한 상태로 백운산장의 운명은 예측 불가다,

마지막 이곳을 올라가면 백운대다,

사진은 올라와서 내려다 보고 직은 것이다,

백운다 정상이 보인다,

북한산이라 부르는 이 산은 삼각산이였다, 북한산 최고봉인 백운대 836,5m 와

바로 앞에있는 만경대, 그리고 옆에 송곳처름 솟아있는 인수봉으로 구성된 이곳 산이 삼각산이다,

고려의 수도 개성에서 볼때 이 봉우리들은 마치 세개의 뿔 처름 보인다고 해서 삼각산으로 불렸다, 고구려 동명왕의

왕자인 온조와 비류가 남쪽으로 내려와 한산에 이르르 부아악에 올라가서 살만한곳을 정했다는

전설이 있는데, 이 때의 부아악이 삼각산이다,

이곳은 백운대정상이다,

상에는 일년 365일 한시도 쉬지않고 펄럭이는 태극기 오늘도 변함없이 휘날리고 있다,


백운봉에 올라(출처 : 연려실기술, 열성어제/태조 이성계

넝쿨 움겨쥐며 푸른 봉우리에 오르니 흰구름 가운데 암자하나 걸려있네,

눈에 보이는 곳 우리 당으로 한다면 오월의 강남땅도 그 속에 있어련만

삼가 태조대왕의 <동백운봉 시>에 차운함

(출처 : 연려실기술. 열성어제/숙종

귀하신 발걸음 백운봉에 오르시여 뭇 봉우리 서광으로 휘감기게 되였네

성조의 덕부가 천지 간에 크기만 크니 땅 끝까지 널리 모두를 포용하리로다,

삼각산 (출처: 매월당 속집 김시습)

높은 삼각산 봉우리 하늘을 찌를 듯, 그 위에 오르면 북두칠성도 딸수 있어

비 구름을 불러 일어키는 저봉우리, 왕실을 만세토록 평안케 하리로다,


위에 붙인 세 편의 시는 백운대 정상 한켠에 붙어있는 안내판에 있는 내용을 인용했다,

백운대에서 인수봉이 보이는 곳 앞에 섯다, 오랬만에 백운대에 올랐어니 인증 샷 두어장 정도는 기본일것 같아서다,

내려다보면 이렇게 가파른 벼랑으로

백운대 정상으로 올라 올수 있다는게 신기할 따름이다,

백운대에서 내려다보는 대동사 방향의 백운계곡

오늘 우리도 저곳으로 올라왓다,

백운대 아래 염초봉과 원효봉 그리고 효자리 일대.

왼쪽 은평뉴타운지구와 오른쪽 고양시 지축과 삼송지구 일대.

그리고 의상능선과 비봉능선 그 너머에 보이는 은평지구 시가지.

인수봉과 도봉산 주봉일대와 그 앞 오봉일대 와

밤골에서 백운대로 올라오는 숨은벽 그리고 인수봉에사 송추방향으로 내려 뻗은 인수릿지

이제 백은대를 내려 가야 한다,

이곳은 백운대에서 첫번재 쇠줄을 잡고 내려와서 계단길로 가는 백운대 허리 길이다,

옆에는 인수봉도 보인다,

 왼쪽에 보이는 쇠줄이 백운대로 올라가는 마지막 길이다,

이제는 올라온 저곳으로 다시 내려가야 한다,

올라올대는 그런대로 올라오지만

사실 이렇게 가파른 길은 내려가는 길이 더 힘들수도 있다, 그래서 더욱 조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