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물흐르듯이 순리대로

경희궁에서 경복궁 낙원상가 까지(2018년 10월 28일) 본문

국내 山行日記/그곳에 가고싶다

경희궁에서 경복궁 낙원상가 까지(2018년 10월 28일)

물흐르듯이순리대로 2018. 11. 2. 06:00

서울교육청 앞을 지나 경희궁 정문인 흥화문으로 왔다,

사적 제271호. 5대궁 중 서쪽에 자리하여 서궐로도 불렀다. 인조, 효종, 철종 등 10여 명의 임금이

살았지만 기간이 짧았고 거의 빈 궁궐로 있었다. 원래 경덕궁이었는데 1760년(영조 36) 경희궁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경희궁은 일명 야주개 대궐 夜照峴大闕 로 불렸는데, 그것은 정문인 흥화문의 현판 글씨가 명필이었고,

 글씨의 광채가 밤에도 훤히 비추었다고 해서 이 일대를 야주개라고 부른 데서 유래한다고 한다.

서울시교육청에서 낙원상가 까지의 경로,

지나오기는 했지만 가물거려서 GPS로 기록된 지도를 붙인다,

강북삼성병원에서 낙원상가 까지다,

경희궁지에 경희궁의 규모와 배치가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경희궁 둘레는 6,600자였으며 정문인 흥화문과, 흥원문, 개양문, 숭의문, 무덕문의 5개 문을 두었어며

숭정전은 신하들의 조회를 받던 곳이며 뒤쪽 자정전은 임금이 업무를 보던 곳이였다.

1908년 일제가 일본인 중학교를 세우면서 조선 왕조의 5대 궁 중

가장 많은 피해를 입었다, 1988년부터 복원작업을 시작하여 2002년 자정전과 숭정전,

숭정문 등을 복원하는 1차 복원공사를 마치고 시민들에게 공개된 궁이다,

흥화문에서 일직선으로 숭정전 들어 갈수가 없었다,

지금 복원공사 중으로 숭정전 측면으로 들어가야 했다, 들어가면서 보이는 숭정전 전경,

이 궁이 창건된 것은 1617년(광해군 9)으로, 당시 광해군은 창덕궁을 흉궁(凶宮)이라고 꺼려 길지에 새 궁을

세우고자 하여 인왕산 아래에 인경궁(仁慶宮)을 창건하였다. 그런데 다시 정원군(定遠君)의

옛 집에 왕기가 서렸다는 술사의 말을듣고 그 자리에 궁을 세우고 경덕궁이라고 했다.

그러나 광해군은 이 궁에 들지 못한 채 인조반정으로 왕위에서 물러나고,

결국 왕위는 정원군의 장남에게 이어졌으니 그가 곧 인조다. 인조가 즉위하였을 때 창덕궁과

창경궁은 인조반정과 이괄(李适)의 난으로 모두 불타 버렸기 때문에, 인조는 즉위 후

이 궁에서 정사를 보았다


그뒤 효종부터 철종에 이르는 10여 명의 임금이 살았다. 현종과 숙종은

이곳에서 평생을 보냈기 때문에 이 기간 동안에 화재와 수리가 특히 많았다. 숙종은 이 궁의

정전인 회상전에서 태어나 융복전(隆福殿)에서 죽었다. 경종은 숭정문(崇政門)에서

즉위함으로써 경덕궁에서 최초로 즉위식을 올렸다.

창건 때 정전·동궁·침전·제별당·나인입주처 등 1,500칸에 달하는 건물이 있었다.

그 창건 공역은 1617년에 시작되어 4년 뒤인 1620년에 끝마쳤는데, 이 공사를 위하여 전국에서

공장(工匠)과 자재가 동원되었다.

영조는 1760년(영조 36) 인조의 아버지 원종(元宗)의 시호인 경덕과

음이 같다는 이유로 경덕궁을 경희궁 으로 바꾸었다. 영조는 이곳에서 즉위를 했으나

몇 달만 이곳에서 지냈으므로 거의 빈 궁궐로 있었다.

경희궁의 정전인 숭정전은 신하들의 조회를

받던 곳으로 궁성의 서쪽에 위치했으며, 주위는 회랑으로 둘러져 있었다.

뒤쪽에는 업무를 보던

자정전(資政殿)이 있었는데 이곳도 행각으로 둘러졌다.

경희궁정전인 숭정전 뒷편에 자리잡고 있는 편전인 자정전이다,

평전은 국왕이 신하들과 정사를 논 하든 일상적인 업무를 수행 하든 곳이다,

경희궁은 국왕이 많이 머물럿든 궁궐이 아니였기 때문에 편전에 속하지만 숙종이 승하 하였을때는

빈전으로 사용되였어며, 선왕들의 어진이나 위패가 임시로 보관되기도 했다,

1860년(철종 11) 전각의 부분적인 수리가 있었으며, 마지막으로 1902년(광무 6)

일부 전각의 수리가 있었다. 이렇게 궁궐의 하나로 중요시되던 경희궁은 일제시대 대부분의 건물이 철거되고,

이곳을 일본인들의 학교로 사용하면서 완전히 궁궐의 자취를 잃고 말았다.

이러한 과정에서 궁내의 건물은 철거되어 없어지거나 다른 곳에 이전되기도 하였고,

궁역(宮域)도 주변에 각종 관사 등이 들어서면서 줄어들었다. 대한민국정부 수립 이후 이곳은 서울중고등학교로

사용되면서 주변 대지 일부가 매각되어 궁터가 더욱 줄어들었다.

1974년 학교를 다른 곳으로 이전하고 전체 부지는 민간기업에 매각하였다가,

1984년 이곳에 시민을 위한 공원을 조성하기로 하여 이듬해 궁터의 일부를 발굴조사하였으며,

1986년부터 공원으로 개방하고 있다.

이 밖에 경희궁의 중요한 건물로는 회상전·융복전·집경당·흥정당 등이 있었다.

이 건물들은 민족항일기에 모두 자취를 잃었는데, 서궐영건도감의궤 西闕營建都監儀軌 를 통하여

그 규모만을 살펴보면, 대내(大內)의 정전인 회상전은 정면 7칸의 팔작기와지붕 건물로, 창경궁의 통명전과 같이

지붕에 용마루를 두지 않은 건물이었다. 중앙계단에는 답도(踏道)를 마련하여

구름 속에 노니는 봉황을 새겼다,

경희궁 참고 자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경희궁을 돌아 나오는 길 산수유 열매가 곱게 열려있다,

경희궁 서울역사 박물관을 지나간다,

이곳은 경희궁 서울역사 박물관 대로변에 있는 경희궁 공원이다,

경희궁공원 대로변 1930년대에 만들어 졋다는 381호 전차가 전시되여 있다,

38년간 서울시내를 운행한 전차 안내

1899년 5월

전차에 얽힌 사건 사고 내용도 있다,

흥선대원군의 조부 은신군의 신도비에 대한 안내

흥선대원군의 조부 은신군 신도비


태종 13년에 종로네거리에 세워졋든 종루 주춧돌,

지금의 보신각이러 불리는 종루, 1972년 지하철공사 도중 발견된 종루 주춧돌이라 쓰여있다,

그리고 세종로 사거리로 해서 광화문광장을 지나 경복궁으로 간다,

광화문광장에서 보이는 것들은 이제는 없어져야하는 것들의 대표적인 것들이였다,

무슨 이유로 광화문광장을 이렇게 무법천지로 만들고 있는지?

길을건너 광화문으로 들어가

흥례문 앞 광장 한켠에서 입장권을 구입하고

영재교를 건너 근정문으로 간다, 경복궁 안 경회루 연못에서 흘러 나와

근정문과 홍례문 사이를 통과하여 동십자각 옆의 水口로 흘러 삼청동 천과 합류하는 물줄기에 있는 다리다.

 궁궐 안에 있는 御溝를 禁川이라고 하고 그 위 다리를 일반적으로 禁川橋라고도 불렀다.


다만 경복궁의 금천교를 永濟橋, 창덕궁의 금천교를 錦川橋, 창경궁의 금천교를

玉川橋라고 하여 별도의 이름을 붙였다. 태조 4년(1395) 경복궁을 건설할 때 만들어진 다리며,

세종 8년(1426) 영제교라고 이름지었다

경복궁 금천을 지나 근정문으로 들어간다,

경복궁 근정전이다, 현재의 건물은 1867년 중건된 것으로, 경복궁 창건 당시인 1395년(태조 4)에

지은 건물로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뒤 270여 년 만에 다시 지은 건물이다. 중건 당시 태조 때의 건물을 원래대로

복구하지 않고 회랑(廻廊)을 단랑(單廊)에서 복랑(複廊)으로 바꾸고 월대(月臺: 궁전 앞에 있는 섬돌)도

새로 만드는 등 변화가 있었다.

현재의 근정전은, 경복궁 복원사업의 일환으로 2000년부터 진행되어 온

보수공사의 결과다. 근정전의 보수는 건물을 지탱해주는 고주(高柱, 높은 기둥) 4개의

맞춤부분이 벌어지고 용마루와 처마가 처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어 1층의 연목과 2층에 해당하는

부분을 완전히 해체하여 재조립한 대규모 공사로, 2000년 1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46개월에 걸쳐 약 72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하여 완료하였다.

근정전을 받들고 있는 기단부는 월대라 한다,

앞쪽 중앙계단에는

답도(踏道)를 마련하여 구름 속에 노니는 봉황을 새겼다,

아래위층 월대 주위에는 긴 댓돌을 돌리고, 그 위에 하엽동자(荷葉童子)와

팔각 돌란대[廻欄石]로 구성된 석난간(石欄干)을 세웠다. 각 난간의 엄지기둥에는 12지상(十二支像)을

방위에 맞게 조각하여 정전을 상징적으로 수호하게 하였다

근정전 건물 내부의 바닥에는 전돌을 깔았다. 또, 내부의 가구(架構) 구성을 보면

바깥두리기둥[外陣柱]과 안두리기둥[內陣柱]을 기본으로 하고 여기에 다른 건물에서는 보기 힘든

귀고주[隅高柱]를 두었다. 뒷면 중앙칸 안두리기둥 사이에 보좌(寶座)를 마련하고 그 위에 어좌를 설치했다.

어좌 뒤에는 일월오악병풍(日月五岳屛風)을 배경으로 삼아 사룡수(四龍首)를

조각한 삼절병(三折屛)을 두었다.

어좌의 상부에는 사각평면에 다출목(多出目)의 작은 공포를 짜고

네 귀를 모접이 한 뒤 다시 다출목의 작은 공포를 짜서 이른바 말각천장(抹角天障)형식의

보개(寶蓋)를 마련하였다. 그 중앙에는 쌍룡과 여의보주를 조각하였다.

근정정 옆 문으로 나가면 경회루가 있다, 국보 제224호.

 정면 7칸, 측면 5칸의 중층(重層) 팔작지붕건물. 근정전 서북쪽에 있는 방형 연못 안에 세운

이 건물은 나라의 경사가 있을 때 연회를 베풀기 위한 곳이었다.

초창 당시 규모가 작은 누각이었으나 1412년(태종 12)에 연못을 확장하고

큰 규모로 중건하였고, 1473년(성종 4)·1474∼1475년, 1506년(연산군 12)에 수리공사가 있었으나

임진왜란으로 불타 버려 1867년(고종 4)에 재건하였다

건물과 육지를 연결하기 위해 세 개의 돌다리를 설치하였는데,

그 중 남쪽에 있는 것은 다른 두 개의 돌다리보다 폭을 넓게 하고 어도(御道)를 두어 왕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기단의 서쪽으로는 계단을 두어 연못의 배를 탈 수 있도록 하였다

단일 평면으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규모가 큰 누각건물이다.

이와 같이 거대한 규모의 건물을 무리없이 견고하게 가구한 점과 물속에 세웠으면서도

그 기초를 견고히 하여 둔중한 건물이 잘 견디게 처리한 점, 거대한 건물을 이익공의 간결한 양식으로

처리하면서도 연회장소로 부합되도록 호화롭게 잘 치장한 점 등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경회루(慶會樓)의 서북쪽 넓은 터에 있는 향원지(香遠池) 안의 작은 동산 위에 있는 향원정이다, 

원래 연못의 북쪽에 연못과 정자를 연결하는 취향교(醉香橋)가 있었으나 6·25때 파괴되었고, 지금 남아 있는 남쪽의

다리는 1953년에 가설된 것이다, 1867년(고종 4)부터 1873년(고종 10) 사이에 지어졋다,

정자의 평면은 정육각형으로 아래층과 위층이 똑같은 크기이며,

장대석으로 마무리한 낮은 기단 위에 육각형으로 된 초석을 놓고, 그 위에 일·이층을 관통하는 육모기둥을 세웠다.

이 정자는 왕과 그 가족들이 휴식을 취하는 대표적인 공간으로,

육각형 모양의 초석과 평면 그리고 육모지붕 등 육각형의 공간을 구성하여 비례감을 두었다는

점에서 역사적, 예술적, 건축적으로 가치가 높다. 이곳 향원정 도 지금 공사중이다,

향원정 근처 팔우정, 집옥재, 협길당이 보인다,               

집옥재는 경복궁 건청궁 안에 있는 전각, 창덕궁 함녕전의 별당으로 지어진 건물로

1888년 고종이 창덕궁에서 경복궁으로 거쳐를 옮기면서 경복궁으로 옮겨왔다

집옥재 옆 광림문으로

가면서 광림문 앞과 향원정 중간 뜰 모습이다,

광림문을 나서면 바로 신무문이다, 경복궁의 북문이다. 원래 경복궁 건립 당시

북쪽 담은 목책으로 이루어지고 북쪽 문은 없었으나, 신무문은 1433년(세종 15년)에 건립된 것이다

신무문이 건립되면서 경복궁의 4대 문이 모두 갖추어졌다,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신무문(神武門)이라는 이름은 네 방향을 관장하는

동물신 중 북쪽을 담당하는 현무에서 따 온 것이며 신묘하게 뛰어난 무용으로 풀이 되기도 한다,

임란때 경복궁이 소실된 것을 현재의 모습으로 중건된 것은 1865년(고종 2년)이며, 중건 당시 현판은

이현직이 썼다, 신무문의 성벽에는 온 세상이 태평성대를 누리기를 바라는 염원에서

천하태평춘(天下太平春, 천하가 태평한 봄날과 같다.)라는 글귀를 새겨놓았다

경복궁 자료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경복궁의 북문인 신무문을 나가면 청와대 정문이다,

이곳에서 이 사진을 찌어여했는지?

일단 찍혓어니 기념으로 ~ 청와대 배경이 기념이 아니라 2018년 10월 28일 日記 기념으로,

신무문 오른쪽 청와대로를 따라 국립민속 박물과 방향으로 간다,

국립민속박물관 맞은 편

사진에 보이는 건물은 국립현대미술관이다, 그 옆 길인 북촌로 5길로 들어간다,

북촌계동길이다, 이길 끝에는

서울 종로구 계동 1번지 중앙고등학교가 있어며, 그 옆은 창덕궁이다,

그리고 계동길 작은 사거리에서 현대건설 본사와  안국역을 지나 운현궁까지 왔다,

운현궁(雲峴宮)은 한성부 중부 정선방에 있던 흥선대원군의 집이자 흥선대원군의 둘째 아들

명복(고종)이 태어나 왕위에 오르기 전까지 살던 곳이다.

이곳은 원래 지명인 구름재에서 이름을 따와 운현궁 이라 불리게 되었다.

운현궁은 고종이 명성황후와 가례를 치른 곳이고, 흥선대원군이 섭정을 하며 나랏일을 보던 곳이기도 하다.

한양 내의 궁 중 유일하게 보존되어 있고, 소규모의 궁궐과 같이 사대문을 갖춘 곳으로

궁의 형태를 살펴볼 수 있다.

08시 30분 모래내에서 안산을 지나 낙원상가까지 17km,를 8시간 정도 걸었다,

꼬불 꼬불 돌아 오기는 했지만 거리나 시간 모두 만만치 않은 일정이였다, 처음부터 목적지를 정했다면

중간에 그만 두었을 지도 모른다, 발길 닿는대로 걷다보니 먼길을 걸은 셈이 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