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물흐르듯이 순리대로

평화누리길10코스(고랑포길)장남교~숭의전지(2017년 3월 26일) 본문

2017년 平和누리길/평화누리길 결산

평화누리길10코스(고랑포길)장남교~숭의전지(2017년 3월 26일)

물흐르듯이순리대로 2018. 12. 3. 06:00

장남교를 건너가면서 파주시 황포돗배 두지나루 선착장이 보인다,

장남교가 없든시절 이곳 두지나루는 파주와 연천을 이어주는 유일한 교통수단이 였든 곳이다,

오늘 이곳으로 오기까지는 전철로 문산역으로 그리고 92번 버스로 적성시외버스

터미널로 와서 2~3km 정도 떨어저 있는 이곳까지는 걸어서 도착했다,

연천구간인 10코스는

장남교에서 숭의전지 까지인데 22km에 6시간 정도가 걸린다고 한다,

10코스 고량포길 출발점인 장남교 앞 아치문이다,

공식적으로 이 문을 지나가면서 부터 10코스가 시작이 되기도 하지만 또한 9코스 종점이기도 하다,

아치문에 있는 스템프 함에서

인증 스템프도 찍고 오늘 이곳을 지나간다는 인증샷도 하고

이곳에는 다른곳과는 달리 DMZ의 가치에 대해 안내를 해놓았다,

여태까지 이어저 온 평화누리길 구간인 김포시, 와 고양시, 그리고 파주시, 는 최북단 접경지역 이기도 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도심 중심의 발전이 많이 이루어진 도시기도 하다, 그러나 연천은 다르다,

3개시가 市 단위 행정구역이라면 연천은 郡 단위 행정구역이다,

연천은 삼국시대엔 삼국의 국경지대였고 우리 민족의 가장 큰 비극인 한국전쟁에선
전쟁의 포성이 멈추지 않았든 땅이었다. 지금도 북한과 맞닿아 분단의 아픔을 현실로 직시하는 땅이다.

 옜날에는 한성과 개성의 물자가 한강을 타고 교류되든 곳으로 남북의 교류를 염원하는 뜻에서 고랑포구의 이름이 붙여진 길로

임진강변을 따라 걷는 길이라고 소개되여 있기도 하다, 길은 평화누리길 10코스 출발문을 지나서 100m 정도 가다가

오른쪽 마을로 들어가는 길을따라 원당 2리로 넘어간다, 보이는 마을이 원당리다,

원당리에는 인삼 밭도 보인다, 이곳이 개성과 가까운 곳이니 인삼 농사를 짓는게

이상하지는 않지만, 파주에서는 좀처름 볼수가 없었는데 이곳에서는 인삼밭이 보이기 시작한다,

원당 2리 버스 정류장을 지나고 장남 119지역대와 의용소방대, 그리고 장남면사무소와 주민자치센터도 지나서

만나게 되는 원당 삼거리 이곳에도 스템프 부스가 있었다, 10코스 인증을 못하고 지나 왔다면

이곳에서 스템프를 찍어라는 뜻이거나 자전가 스탬프 함일것 같다,

계속해서 2차선 도로를 따라간다, 인도가없는 도로를 걷는 길은

여간 조심스러운게 아니다, 그러나 이길은 지나가는 차를 볼수도 없었든 아주 한적한 도로였다,

이제 가야하는 길은 앞에 보이는 높은 철 구조물이 있는 곳이다,

저곳은 임진강 번지 점프대가 있는 곳이다,

오른쪽은 임진강번지 점프대가 있는 곳이고 왼쪽은 힐링카라반 캠핑장이다,

왼쪽 캠핑장과 오른쪽 번지점프대가 있는 사이로 지나간다,

그리고 낮은 산 억덕을 넘어가면

사미천 캠핑장이 있는 마을로 들어가게 된다,

이곳은 원당 1리다, 집들은 몇채 없지만

2015년 여름 이곳을 지날때는 사미천 캠핑장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았든 곳으로 기억된다,

마을 끝은 사미천이다, 외곳에서는 왼쪽 제방둑으로 올라가서 제방길을따라

끝까지 가서 사미천교를 건너서 다시 사미천 건너에 있는 제방길을 따라 이곳 캠핑장 맞은편으로

올라와야 한다, 이렇게 길게 돌아오는 길이 2km 이상 된다,

그러나 오늘은 제방으로 올라가지않는다,

이렇게 사미천을 건널수 있게 징금다리가 만들어저 있었기 때문이다, 사미천에 징검다리가

놓이면서 달라졋다, 먼길을 돌아와야 하는 거리를 몇 십초 만에 건너간다,

사미천 징금다리를 건너서 가파른 저 둑위로는 또 어떻게 올라갈까 하고 걱정을 했는데

사미천을 건넜더니 이어지는 길도 이렇게 말끔하게 잘 만들어 놓았다,

건너와서 돌아다 본 사미천과 사미천 캠핑장 방향,

건너올때보다 더 아름답게 보인다,

잡목들이 뒤엉켜 있든 버려진 하천변을 사람이 다닐수 있는 아름다운 길로

만들어 놓았다, 손 만대면 환경파괴라고 하지만 그냥 방치하는 것 만이 자연보호일까?,

오히려 이렇게 가꾸는게 자연을 보호하는게 아닐까?

이 하천변길을 따라 적성교까지 올라가는 제방둑으로 연결해 놓은줄 알았더니

석장천을 건너갈수 있는 징금다리를 만들어서 노곡리 제방둑으로 올라갈수 있게 했다, 적성교까지

올라갔다가 다시 건너편까지 내려오는 길도 족히 1,5km 정도는 된다, 두곳에 만든

징검다리로 약 4km 정도의 길이 단축되였다,

노곡리 제방둑에 올라와서 지나 온 길을 돌아보니

왼쪽 임진강 번지점프대가 있는 곳에서 여기까지 온 경로가 한눈에 보인다,

앞 하천은 석장천으로 이곳은 임진강으로 합류되는 지점이다,

이제 석장천과 임진강이 합류되는 지점에서 비룡대교가 있는 곳으로 올라간다,

앞에 보이는 정자가 있는 곳은 비룡대교에서 부터 임진강 번지점프장까지의 구간을 조망할수 있는

전망대 이자 쉼터다, 이번에보니 2년전에는 없든 화장실도 만들어 놓았다,

비룡대교로 올라가는 임진강변 노곡리 제방길을 길게 올라간다,

또한 평화누리길은 거의 전 구간이 그늘이 없는 길이다, 그래서 그늘은 스스로 만들어야 한다,

그러자면 챙 넓은 모자가 제일좋다,

임진강변에는 가는 곳 마다 양수장, 취수장, 또는 배수장을 보게된다,

이런 시설물들은 사람이 살아가는데 가장 중요한 기본시설들이다, 그러나 우리는 느끼지도 못하고 살아간다,

비룡대교로 가는 감악산로 를 건너서 임진강변 둑길로 가는길이다,

앞 공동묘지 옆에는 사당같은 건물이 보이는데 어떤 사당인지 안내가 없어니 알길이 없다,< /p>

그리고 임진강 둑으로 다시 올라왔다,

임진강하류로 돌아보니 비룡대교가 보인다, 이곳은 북한과 가까운 지역이다보니

예전에는 비룡대교를 건너자면 주민등록증을 맡기고 통행을 했든 다리다, 원래의 다리는 비룡대교 옆에

낮은 다리가 있었는데 잦은 침수로 비룡대교를 새로 만들었다, 비룡대교 인근은 수위가 낮고 차를대고 캠핑과 낚시를 하기도

좋은 장소로 알려저 있다, 2010년에는 북한에서 떠 내려온 목함 지뢰 폭발로 민간인이 사망하는 사고도 있었든

곳이며 매년 여름 홍수시 임진강 수위 단골로 비룡대교가 뉴스에 나오기도 하는 곳이기도 하다,

비룡대교 건너기 전 양쪽에는 2곳의 한식부페 식당이 있다,

아침에 적성버스터미널에서 이곳으로 오면 점심시간이 되니 참고하길 ~

임진강 둑길을 따라 임진강 상류로 올라간다,

이렇게 한적하고 외진 곳에 보도 블럭을 깔아놓은 이유는 무었일까?

제방 둑으로 한참을 올라와서 이제 임진강변 하천으로 내려간다,

강변에서 학곡리 마을 가운데로 들어왔다, 마을 중간쯤에 고인돌이 있다, 연천 학곡리 고인돌이다,

경기도 기념물 158호로, 고인돌 支石墓 은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양식으로 임지, 규모, 투입된 노동력 으로

축조방법등을 통해 당시의 사회상과 기술수준을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다, 한반도의 고인돌은 축조 방법과 형태에 따라 북방식(탁자식),

남방식(바둑판식) 개석식(무지석식)으로 구분된다, 연천학곡리 고인돌은 땅위에 괸돌과 막음돌을 세워 무덤방을 만들고

그위에 대형 덮게돌을 올려만든 전형적인 탁자식이다, 현재 양쪽을 막은 막음돌은 사라지고 두매의 괸돌만 남아있다,

그리고 마을 끝에 또 다른 돌무덤이 있다, 연천 학곡리 鶴谷里 적석총 積石塚 이라는 안내가 있다,

경기도 기념물 212호다, 적석총은 연천군 백학면 학곡리 20-1번지 임진강변 자연제방 위에 위치한 돌무지무덤으로

매장시설인 묘곽은 모두 4기가 확인되였다, 유적은 강쪽의 구릉 말단부에 일정한 크기의 강돌을 보강하여 적석부의 붕괴와 유수로 인한

침식을 막고 자연구릉에 기대여 돌을 쌓은후 구릉정상부를 삭토하여 무덤방을 위치시키고 다기 강돌을 쌓아 마무리했다,

무덤의 크기는 25m × 10m 정도로 추정되나 잦은 강물의 범람과 주변개발로 파괴되면서 상당부분 유실되였다,

↑ 2003년 발굴 당시 경질부문 토기를 비롯해 낙랑계토기와 다수의 유리제 구슬들이

발견되었다, 고구려계 유뮬이 발견되지 않아 백제의 건국과 관련된 무덤일 것으로 추정된다, 학곡리 적석총이 위치한

돌마돌 마을에는 마귀할멈이 치마폭에 돌을 날라 와 이 적석총을 쌓았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어며

마을 주민들은 이 적석총을 활짝각담 으로 부르며 신성시 해 왔다,

자유로 CC 인근 학곡교도 지나간다,

길 옆에는 전곡 농협 새둥지마을 이라는 안내도 보인다, 보이는 다리는 백학면 학곡리에 있는 학곡교다,

학곡교를 지나 언덕길 옆에있는 해태상 카페 고개 언덕을 지나 내려가면 끝지점에

임진강을 따라가는 임진강 둑길이 보인다, 이곳에서 평화누리길은 임진강 둑방길을 따라가면 된다,

평화누리길은 가는길마다 꺽이고 돌아가는 지점에 이정표와 리본은 없는 곳이

없을만큼 잘 보이도록 설치되여 있다, 평화누리길을 위해 얼마나 많은 분들이 노력을 하고 있는지

알수있는 반증이기도 하다, 흙길도 세멘트 포장길도 아닌 보도블럭길을 따라 간다,

이렇게 한적하고 외진곳인 임진강 둑방까지 보도블럭을 깔아 놓았다, 공사주체가

연천군인지? 경기관광공사인지? 는 알수는 없지만 이렇게 많은 투자를 하면서까지 평화누리길을 알리기 위해

많은 노력을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인들이 느끼는 이 길에 대한 평가는 과연 어떤것일까? 한번도

이길에 대해 들어보지도 못한 사람들과 두번째 종주를하고 있는 나에게도

이 길의 의미는 과연 무었일까?

그냥 길이 있어니 걷는다, 그러면 궂이 이길이 아니드라도 길은 많다,

국토의 최북단에 있는 길이라서? 그것 만으로는 얼릉 감이 와 닿지 않는다, 그렇다면 이길의

진정한 의미는? 무었이기에 5~6개 지방 정부기관이 이렇게 막대한 돈과 인력을 투입하고 있는 것일까?

해당 기관들은 이 길에 대해 한마디로 무엇이라 정의를 내리고 있는 것 일까?

길에대한 의미가 무었이건 임진강은 오늘도 유유히 흘러가고 있다,

연천군 백학면 구미리 임진강변에 있는 구미배수펌프장도 지나서

앞에 보이는 도로 언덕 이제 저곳으로 가야한다,

언덕에 보이든 도로는 노아로 다,

언덕길을 넘어가는 노아로는 인도와 자전거 도로가 만들어저 있다,

이정표는 언덕 끝,

오늘쪽 산에있는 큰 고압선 전주 방향으로 가라고 알려준다,

이곳에는 반기문 정자가 있었다,

무슨 이유로 이곳에 반기문 정자가 있는지는 알길이 없지만 산 밑으로 흐르는

임진강과 임진강 유역은 아름다운 우리네 시골 농촌풍경이다,

그리 높지 않은 산이지만 이제 부터는 산길로 간다,

이 산 이름은 모르지만

이 산을 넘어가면 10코스 종점인 숭의전이다,

낙옆이 발목까지 푹 푹 빠질 정도로 켜켜이 쌓여있는 낙옆길을 따라 걷다보면

숭의전 아래 강가 나루터도 보인다, 2015년 9월 탐방시 저곳에는 많은 사람들이 낚시를 하고 있었다,

숭의전으로 가는길 내림길에서 임진강을 배경으로!!

내생애 오늘은 두번 다시 오지 않기 때문이라는 거창한 이유가 아니라

내가 오늘 이곳에 있었다는 증거로

숭의전이 있는 언덕과 임진강,

그리고 동두천 방향으로 나가는 삼화교도 보인다,

이제 저 오솔길을 올라가면

숭의전 崇義殿 은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에 있다.

조선 태조 6년 1397년에 태조의 명으로 묘(廟)를 세우고, 정종1년 1399년에는 고려 태조와

혜종, 정종, 광종, 경종, 선종, 목종, 현종의 7왕을 제사 지냈어며 세종 5년 1423년과 문종 2년 452년에

중건한 숭의전이다,


숭의전 앞으로 지나가서

옆으로 들어가면 평화누리길 10코스 숭의전 종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