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물흐르듯이 순리대로

문화유산방문자여권투어-6, 김포 장릉 (2023, 06, 25) 본문

국내 山行日記/문화유산투어

문화유산방문자여권투어-6, 김포 장릉 (2023, 06, 25)

물흐르듯이순리대로 2023. 7. 31. 00:02

김포 장릉으로 왔다, 우선 배치도를 보고나서

김포 장릉 안내소로 들어가면

매표소에서 장릉으로 들어가는 입구에 문화유산방문여권 스템프함이 있다, 여권 95페이지 89번 칸에 스템프를 찍는다,

문화재청 조선왕릉에 실린 장릉을 찾아보면 1619년(광해군 11)에 선조의 왕자 정원군(원종)이 세상을 떠나자 그 이듬해 양주 곡촌리(현 남양주시 금곡동)에 묘를 조성했는데. 1623년에 인조가 왕위에 오르자 정원대원군으로 추봉되고, 1626년(인조 4)에 계운궁 연주부부인(인헌왕후)이 세상을 떠나자 김포 성산에 육경원을 조성했는데. 이때 정원대원군의 원의 이름을 흥경원(興慶園)이라 했다.

그리고 1627년에 흥경원을 육경원으로 천장하면서 원의 이름을 흥경원이라 했다가, 1632년(인조 10)에 정원대원군이 원종으로 추존되면서 능의 이름을 장릉이라 했다. 이때 릉을 왕릉제도에 맞게 새로 조성했다.

정자각 옆 수라간이 있다, 수라간은 정자각 제례에 필요한 간단한 준비를 할 수 있다. 본격적인 준비는 홍살문 밖에 있는 재실에서 이루어진다.

정자각이다, 조선 왕릉의 정자각은 릉에서 제사지낼 때 사용하는 중심 건물로 그 모양이 丁 자와 같아 정자각(丁字閣)이라 불렀다. 정자각은 봉분 아래에 있으며, 정자각 앞으로는 박석을 깐 삼도(三途)가 있고 삼도 맨 앞 입구에는 홍살문이 놓인다.

정자각은 산릉 의례를 위한 건물로, 정전(正殿)과, 배위청(拜位廳)이 결합한 丁자형 평면을 이루기 때문에 정자각(丁字閣)이다.

대 와 기단은 화강석 장대석을 쌓아 구성했고 계단은 월대의 양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동쪽 계단은 두 곳으로 나뉘며, 두 계단 중에 하나는 향로계(香路階, 운계)로 측면에 구름문양을 새긴  장식이 있는데, (향로 = 신도)라고 부르는 향을 모시고 가는 길과 이어진다.

 

임금조차도 이 계단으로는 오르지 못하고 그 옆에 간소하게 꾸며진 어로계(御路階, 동계 = 어도)를 이용한다. 서쪽 계단에는 신도가 없다, 제사가 있을 때 수라간에서 준비한 음식물을 나르는데 이용되거나 제사가 끝난 후 축문을 태우기 위해 축문을 들고 갈 때 사용한다,

배위청에서 바라보이는 장릉은 추존 원종과 인헌왕후 구씨의 능이다. 김포장릉은 다른 곳의 왕릉과 다른 점이 있다, 릉은 제례시 엎드려 재배를해야 릉이 보이는데 김포 장릉은 서 있어도 릉이보인다, 이는 인조가 릉을 조성하면서 백성들의 고생을 덜어주려는 의도로 자연형태를 그대로 살려서 조성하라는 명을 내렸기 때문에 홍살문에서 정자각으로 들어오는 향로와 어로 그리고 릉까지의 구성이 경사가 진 이유다,

진입 및 제향 공간에는 홍살문과, 판위, 향로(신도)와 어로(어도), 수복방, 정자각, 비각이 배치되어 있는 구조다,

정자각 오른쪽에 비각이 있는데 비각 안에는 한 기의 표석이 있다, 원종이 왕으로 추존되면서 영조 29년(1753)에 세운 세운 표석이다

비석에는 朝鮮國(조선국) 元宗大王章陵(원종대왕장릉), 仁獻王后부左(인헌왕후부좌), 라고 새겨저 있다,

비각 옆에는 육경원(毓慶園, 인헌왕후의 추존 전 원의 이름)에 있을 때 사용한 비석 받침 돌이 장릉 근처에서 노출되어 발굴된 후 이곳에 전시했다.육경원 비석 받침돌 안내도 인조의 어머니인 연주부부인 구씨가 1626년 인조4년에 승하하자 이곳 김포에 예장하고 무덤의 이름을 육경원이라 했다,

 

다음해 인조 5년 아버지 정원대원군의 무덤인 홍경원을 양주 곡촌리 (남양주시 금곡동)에서 김포육경원으로 옮겨와 두 원을 합하여 홍경원이라 했는데 그후 인조 10년 1632년 원종과 인현왕후로 추존하면서 홍경원을 장릉으로 격상시켰다라고 안내되여 있다

홍경원을 장릉으로 격상 시키면서 종전의 석물들 중 사용하지 않게된 일부를 능 왼쪽 언덕에 묻었는데 세월이 지나면서 육경원 비석 받침돌이 지상으로 노출되여 비각 옆으로 옮겨서 보관(전시)하고 있다,

장릉 정자각 뒤 언덕에 왕과 왕비의 봉분을 나란히 조성한 쌍릉의 형식으로 정자각에서 보았을 때 왼쪽이 원종, 오른쪽이 인헌왕후의 능이다. 능에서 보면 오른쪽은 남자, 왼쪽이 여자다,

능침구역은 신성한 구역이니 올라가 볼 수 없다, 문화재청 조선왕릉 홈 페이지에서 장릉이미지 사진을 퍼 와서 새로이 구성을 해 본다,

능침은 병풍석과 난간석을 생략하고 호석만이 둘러져 있는데, 이는 원종이 왕으로 추존 되기 전 흥경원을 조성할 때의 호석이며. 아래 사진 왼쪽 첫번째 사각석물은 혼유석 魂遊石으로, 석상 石狀 이라고도 부르며 왕과 왕비 혼이 노니는 곳이다, 장릉에는 혼유석이 2개가 있다,

위↑에 보이는 혼유석과, 칼을 세워 짚은 무석인과 오른쪽 문석인, 아래↓사진의 석양과 석호 이며, 하단↓ 사진의 장명등과 망주석 등은 원종이 왕으로 추존된 이후에 새로 설치한 석물이다. 여기서 망주석 望柱石 이란 멀리서 보아도 능역임을 알리기 위해 능침 좌우에 세우는 돌 기둥이다,

정자각 지붕 용마루 끝에 4개씩의 잡상도 보인다, 잡상 雜像은 궁궐이나 정자각지붕 추녀마루위 끝에 설치된 토우 土偶 로 장식기와다, 벽사(길상과 화마를 제압한다는 뜻)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잡상들은 각각의 모양이 다르고, 설치되는 개수도 건물 규모에 따라 3, 5, 7, 9, 10, 홀수다, 토우는 흙으로 사람, 동물, 또는 명상을 만드는 것을 뜻하는데 고대에는 주술의 의미로 많이 제작 되였다, 지금으로 치면 흙으로 빚어서 가마에 구운 테라코타 인형 또는 형상이라 보면 된다,

잡상은 1대당사부, 2손행자, 3저팔계, 4사화상, 5이귀박, 6이구릉, 7마화상, 8삼살버살, 9천산갑, 10용두, 등으로 10여종이 있는데, 잡상은 아무나 지붕에 올려 놓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귀하신 토우들이기에 궁궐과 궁궐에 관련되여 있는 건물에만 올릴수 있다, 능에도 왕과 왕비가 주무시는 곳이니 정자각에도 올라간다

문화재청 조선왕릉에서는 찾을 수 없는 장릉야사도 있다, 야사는 장릉에 심어진 뽕나무에 대한 이야기다, 정자각을 보고있는 방향 왼쪽, 수령 400년이 넘었다는 뽕나무가 있다, 이 뽕 나무는 추종된 원종의 아들인 인조가 부모의 릉을 참배하려 왔다가 심은 기념수다, 그러나 뽕나무는 암, 수, 로 나누어지는데 인조가 심었다는 이 뽕나무는 수 나무로 열매가 맺히지 않는 나무였다,

그래서 능 관리지기 들이 후일 정자각 지나 맞은편에 열매가 맺히는 암 나무를 심였다, 암수가 마주보고 있어니 당연히 열매는 맺힌다, 매년 오디가 지천으로 열린다, 열매가 익어가는 시기에 장릉으로 오는 참배객들은 오디 맛을 볼 수 있다, 

김포장릉이야기는 여기서 끝이다, 이 이야기의 사진과 글 등은 2019년 10월 27일 김포장릉에서 만나는 조선 왕릉이야기를 재 구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