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물흐르듯이 순리대로

정릉에서 행궁터 북한산성 입구로(2010년 7월 13일)북한산 본문

국내 山行日記/서울·북한·도봉

정릉에서 행궁터 북한산성 입구로(2010년 7월 13일)북한산

물흐르듯이순리대로 2010. 7. 11. 14:27

지하철 5호선 광화문역 2번출구에서 1020 버스를 타고

정릉버스종점까지 가면 북한산입구와 연결된다,

 북한산 입구를 들어서자 잘정비된 등산로가 어진다, 

했볕은 따가워도 그늘이 우거진 숲길을 따라 걷노라면 그리 덮지만은 않다

 정릉에서 보국문(원래는 동암문 이다)으로

올라가는 등산로는 처음부터 끝까지 이런 돌계단 길이다

쉬엄 쉬엄 한 30-40분정도 올라가면 만나게되는 다리,

이다리를 건너면 바로 우측으로 칼바위로 가는 길이 나온다

보국문으로 가는길은 그냥 가든대로 따라 올라가면 된다,

여기는 보국문 밑 약수터인데 지근거리에 약수터가 두군데나 있다,

가는길 우측으로는 칼바위가 벼랑끝 처름 솟아 있다,

산에서의 돌계단길은 그리 만만한 길이 아니다, 흙을 밟고 올라가는 것보다 두배는 힘든다,

  여기 돌계단길은 가도 가도 끝이 없을 만큼 힘에 부친다, 물론 젊은 사람들이야 날아 가겠지만,...

깔딱 숨넘어 갈 만큼, 혼신의 힘이 다 빠졋을때쯤,

가파른 언덕 어디에선가 불숙 튀여 나오듯이 보국문이 나타난다

원래 이 문의 이름은 동암문이 였다, 

일명 보국문이라 불리든것이 어느때인지 보국문이라는 현판이 붙었다,

그러나 암문은 원래 현판이없다, 여기는 개수시 붙여놓은듯 하다,

↓ 사진은 보국문 위다,

보국문 옆으로는 칼바위가 칼날처름,

사람의 접근조차 허용하지 않을듯이 도도히 버티고 있고 ~

보국문은 정릉길과,  동쪽 남쪽의 성곽 주능선길, 북한산성동으로 연결되는길,

  그리고 대성문으로 연결되는길 등 성내 어디든 연결이 가능한 길들이 모두 연결되는 중요한 길목인 5거리이다,

북한산성동으로 연결되는 길을 따라선다,

  오늘 같이 더운날은 산성길이 했볕은 따갑지만 계곡길의 물과 시원한 그늘이 있기 때문이다,

여기는 輔 國 寺 址(보국사지) 이다,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이 주소지인 이곳은 조선숙종 37년인 1711년

북한산성 축성이후에 건립한 보국사가 있든 절터이다, 보국사는 승병을 유치하기 위하여

산성내에 건립한 13개의 사찰 가운데 하나로 승 탁심과 명회에 의하여 177칸 규모로 창건된 후

  보국문 일대의 산성수비 역활을 수행 하였고 갑오개혁시 승병해산 이후 혼돈기인 19세기

말즈음에 소멸된것으로 추정 된다고 적혀있다

보국사지를 지나 산성내로 들어가는 길은 꽤나 넉넉한 산길이다,

아마 옜날 이길은 많은 군사들이 이동하든 길이 였어리라

보국문에서 약 400m 정도를 내려가면 북한산성내 주 길과 연결된다,

  여기서 아래로 계속해서 약 5,km 정도 내려 가면 북한산성 입구고, 약 2km정도

위쪽으로 올라가면 대남문으로 연결된,

화강암을 다듬어 석축을 쌓은 흔적이 예사롭지 않은 이곳은 經理廳 上倉(경리청 상창)이라는

창고가 있었든 곳(址 지)이다, 행궁 아래 자리한 이 곳은 조선숙종 37년 1711년에 북한산성축성이후 전란을

대비하여 양곡을 보관하든 곳으로 八非軒(팔비헌)이라는 편액이 있었다, 上倉(상창)은 창고63칸, 內衙(내아)

12칸, 집사청 3칸, 軍官廳(군관청) 4칸, 書員廳(서원청) 4칸의 규모로서 창고기능외에도 성내사두를 총괄하는

官城所(관성소)를 함께 두었어며 행궁을 관리하는 管城將(관성장)이 근무하든곳이다, 

 

  양곡창고는 이 곳 외에도 상창옆에 御供米(어공미)를 보관하든  戶曺倉(호조창), 중흥사앞에 中倉,

대서문안에 下倉, 성밖의 탕춘대에 平倉이 있었다, 상창은 혼돈기인 19세기 말에 소멸된것으 로 추정된다,

안내판에 붙어 있는 약도를 보니 경리청 상창 은 성밖 어느곳에서나 물자를 들여올수 있는 여건과

전란시 성내의 여러곳으로 가장 손쉽게 물품공급을 할수 있는 북한산성내 보급기지로서

지리적인 여건을 모두 갖춘 곳에 있었든것 같다,

북한산 상원봉 아래 자리한 이곳은 전란시 왕이 임시로 거처하기 위하여

건립한 북한 行宮(행궁)이 있었든 곳이다, 북한행궁은 내전과 외전을 합하여 124칸에 이르렀다,

내전은 좌우상방 각 2칸, 대청 6칸, 사면퇴 18칸을 합한 28칸의 정전외에도  부속건물이 35칸였으며

외전은 내전과 같은 규모의 정전 28칸과 33칸의 부속 건물로 구성된 비교적 웅장한 모습이였다고 한다

사진속의 이 행궁은 평상시에는 북한산 문고를 마련하여 실록 등 고문헌을 비밀리에

보관하여 왔어며 역대왕 가운데 숙종과 영조가 이곳을 찾은 기록이 전해지고 있다, 행궁은 전란에 대비하여

구한말까지 관리가 계속 되였어나 일제에 주권을 빼았긴 후 방치되다가 1915년 8월 집중 호우시 무너저 소멸되였다

이 곳 주위는 아직도 행궁터였든 흔적을 곳곳에서 감지할수 있다,

행궁터 앞 계곡물은 그냥 손으로 떠서 마셔도 될만큼 깨끗해 보인다,

  사진으로는 일부만 보이지만 이곳 여기 저기는 몇수십명은 족히 쉴수 있는 공터가 있는 꽤나 넓은곳이다

더욱이 차디찬 계곡물에 산행에 지친 발을 담구고 잠시쉬면 여름날의 뜨거운 기운도 금방 꽁꽁 얼어 붙는다,

  바람처럼 구름처럼 살다가라 하네. 강물처럼 별빛처럼 흘러가라 하네. 문득 노랫말이 떠오른다,

이순간은 그래 그렇게 살고싶다

땀에 쩔고 더위에 지친 마음도, 오싹하도록 꽁꽁 얼어붙는 계곡물에

다 녹아 내리다 보니 올여름 한철은 여기서 이대로 머물고 싶다, 그래도 돌아가야 하기에 아쉽지만

일어나서 길을 잡는다, 여기서 북한산성 입구까지는 아직도 4km는 더 가야한다,

내려가면서 보니 여기 저기에 이런 비석들이 있다,

잘은 모르겠지만 산성내의 여러곳에 공을세운 벼슬아치들의 공로비인듯 하다, 그래서 이곳은 비석 거리다,

계곡의 물소리를 따라 걷는길,

오르막이 아니고 계속 내리막 길이다 보니 걷는이의 발걸음 조차 여유롭다

계곡의 곳곳은 더위를 피해 나온 사람들의 좋은 휴식터다,

땀을 식히고 나서 늘어지게 한숨 오수를 즐기는 사람들의 모습이 

무척이나 한가롭고 평화로워 보인다,

 갑자기 잘생긴 하얀빛이 하늘에 걸려 있다,

언제 보아도 웅장한 멋을 풍기는 노적봉, 한마디로 광채가 난다

내리막길 내내 이어지는 수려한 계곡,

  장마철에 물이 불어나면 경치는 좋겠지만 급한 경사 만큼이나 유속이 빠르다는

것을 감안해서 안전한 물놀이를 해야 할것 같다,

노적봉 밑 노적사로 들어 가는 두개의 다리중 윗쪽에 있는 다리,

  철제 다리와 청사초롱 같은 절의 등, 나름 주변 경관을 해칠 정도는 아니다,

중성문 추녀 끝에 걸린 노적봉,

언제 어디서 어느곳에서 보아도 그 빼여나고 장엄한 기운은 마치 천상에 이르는듯 하다,

중성문을 보면 북한산성을 축성하든 그 옜날에도 우리 조상들은 문 하나를 만들어도

참 여러가지를 고려해서 세심하게 만들었다는 생각을 하게된다, 전란시 큰 대문을 사용 할수 없는

경우까지를 대비해서 비밀의 문(암문)을 만들고 위장해서 사용했든 흔적을 보면 지금처름 무작정

개발논리로 밀어부친게 아니라 돌담 하나에도 실용성을 무척이나 중요시 했다는 생각이 든다,

북한동 산성내에서 전란 이후부터 자리잡고 행락객을 맞아 영업을해 왔든 상가들이

2010년 7월부터 철거가 시작되였다, 만만치 않은 예산이 투입되였을 상가 이전 계획이 성공리에 잘 끝나서

아름다운 북한산의 자연을 어느특정 개인의 것이 아 니라 우리 모두의 것으로 되돌려 줄수있기를 기대한다,

먹을데가 없어 진다고 아쉬워 하지마라, 입구에 현대식으로 지금보다 더 잘 꾸며 놓았다,

이제 북한산 계곡은 끝나간다,

  오늘 북한산 계곡을 따라 장장 5km 를 걸어면서 느끼는 것은 이곳도 강원도 어느 깊은 산중처름 깊고 맑다는 것이다

북한산성 입구에서 뒤돌아 본 북한산, 갑자기 땅에서 튕겨저 나온것처름 우람하게 솟아있다,

  왼쪽이 원효봉이고 그다음 불쑥한 암봉이 노적봉이며 오른쪽에 칼날처름 솟아 있는것이 의상봉과 용출봉이다,

  아마 바닥에 보이는 건축물들만 아니라면 그냥 이 자체로도 한폭의 동양화 였을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