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국내 山行日記 (1131)
물흐르듯이 순리대로

신목동역에서 오목교로 가는 안양천변 둑방길은 양천둘래길 하천구간이다, 아래 안내도에서 영등포구와 경계지역이 안양천 변이다,목동소재 식약처 맞은편 둑길로 들어 가면2025년 4월 8일 현재 80% 정도의 벚꽃이 흐트러지게 꽃을 피웠다,둑길 양쪽에 피여난 벚꽃은 동쪽은 많이 피였고 서쪽 목동 방향은 절반 정도지만이번 주말에는 100% 만개 하지 않을까?벚꽃에 치인 매조는 봄 꽃으로 눈길 조차 못받아도 화알짝 피여나고,같은 장소인데 안양천 쪽은 90% 피였는데 안쪽은 아직이다, 조팝도 나두 꽃이다 라고 하는듯안양천 건너 영등포구 양평동 둑길에도 벚꽃은 피여나고안양천변 장의자에 앉아 봄을 맞는 사람들도 심심치 않게 보이는 곳목동교가 보이는 길에서목동 열병합 발전소도 지나서내려가다 보면 이대 목동병원도 지나간다,..

양천구 용왕산 들머리는 수십군데나 되지만 오늘은 목동중앙로9길 21 앞으로 들어간다,여기는 용왕산 둘레길의 시점이자 종점이기도 하지만 양천둘레길 용왕산 구간이기도 하다,첫 오름길은 완만한 길도 있고 보이는 것 처름 나무계단으로 올라가는 길도 있는데, 오름길은 거리도 짧지만 그리 급한 오름도 아니다,금방 마주하게 되는 용왕산 능선으로 올라가다가20여m 정도 거리에서 오른쪽 산 허리 길로 들아간다 조금이라도 올라가는게 불편하면 이 길은 거의 평지길 수준이다,이 길의 아랫쪽에는 목동 월촌초등학교가 있다,평지길 보다 더 편한 길을따라 가다보면월촌초등학교 방향에서 올라 오는 길도 있는데 여기는 경사도가 심하다,거리 멀지 않은 길을 따라가면 능선에서 내려오는 길과 마주하게 되는데능선에서 내려오는 길은 이 정도의 경..

아차산에는 공식적인 명품 소나무가 많은 산이다, 눈이 소복히 내려 쌓이는 아차산은 어떤 모습일까?궁금증과 기대반으로 찾아간 아차산 많은 눈은 아니였지만 기대를 저버리지는 않았다,

조선 7대 임금 세조와 왕비가 묻힌 경기도 남양주 광릉 옆에는 고찰이 하나 있다. 세조비 정희왕후 윤씨가 남편을 위해 중창한 원찰로 이름은 봉선사다.奉先寺는 남양주시 진접읍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 사찰로. 대한불교 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이기도 하다. 고려 광종 20년인 969년에 승려 탄문이 운악산 자락에 절을 창건하고 운악사라고 부른 것이 봉선사의 전신이라고 전해진다.봉선사로 이름을 바꾼 것은 조선 예종 때인 1469년이다, 왕의 어머니인 정희대비가 죽은 남편 세조의 능을 운악산으로 이장하여 광릉이라하고, 이 절을 세조의 명복을 비는 사찰로 삼아 '선왕을 받든다'는 뜻으로 봉선사라는 이름을 붙였다.봉선사 일주문을 들어서면 디딜방아에 대한 이야기가 있다, 여기에 안치한 석물石物은 디딜방아로 추정되며..

사적 남양주 광릉은 조선 7대 임금인 세조와 정희왕후 윤씨의 능이다, 세조는 재위기간 동안 정승들의 권한을 약화시켜 왕권을 강화하였고 직전법을 실시하여 토지제도를 개혁했다, 또 지방의 군사조직을 강화 하였으며 조선의 기본 법전인 경국대전의 편찬을 시작했다,정희왕후는 1455년 세조가 왕위에 오르자 왕비로 책봉되었다, 아들 예종이 일찍 세상을 떠나자 손자 성종을 왕위에 올린후 조선 최초로 수렴청정을 했다, 광릉은 조선 최초로 같은 능역내 하나의 정자각을 두고 서로 다른 언덕에 능을 조성한 동원이강릉 형태다,광릉은 세조의 유언에 따라 제궁(관)을 두는 방을 석실石室 대신 회격으로 만들고 봉분의 병풍석을 생략하여 왕릉공사에 드는 비용과 인력을 절감하였다,광릉으로 들어가면서 처음으로 보이는 곳은 광릉 재실이다,..

지하철 4호선 오남역이다, 진접선의 중간 역사인 오남역은 이용객의 이동 동선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하 2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역사 지상부는 공원과 환승 주차장으로 계획되어 시민들에게 자연속에서 편안한 휴식,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을 할 수 있는 화합의 장을 제공할 뿐만아니라 빠르고 편리한 환승 편의를 제공한다, 일상과 휴식, 자연을 담은 오남역 이라는 역이야기다,지하 1층 대합실은 기둥이 없는 첨단 아치형 구조를 도입하여 실내 개방감을 극대화 하였고 대합실 천정의 빛모임 디자인은 지상의 열린 공간을 실내로 인입 함으로서 자연과 첨단의 조화를 상징화 하여 새로운 신도시로 도약을 준비하는 오남의 미래상을 담았다,선조들의 애정어린 오남, 새로운 도역을 준비 한다는 지역이야기는 남양주 중앙부에 위치한 오남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