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국내 山行日記/서울·북한·도봉 (294)
물흐르듯이 순리대로

대남문으로 올라가는 길에서 북한산성 행궁지로 들어간다, 청수동암문 갈림길이 있는 이곳에서 청수동암문 방향으로 들어가면된다, 이 지역은 산성내 행궁권역이라는 안내표지판도 있다, 여기서 행궁지까지는 350m, 남장대지까지는 750m정도 거리다, 북한산에 여러번 다니신 분들도 행궁지는 잘 알지 못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오늘 별도로 북한산성내 행궁지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 한다, 행궁권 권역이란? 북한산성 행궁(北漢山城 行宮)이 있었든 터(자리)가 있기 때문이다, 행궁이란? 왕의 임시 숙소로 황궁의 격식을 갖춘 건물이다. 전쟁시 피난처이자 지휘소다, 북한산성 행궁은 실제로 사용된 적은 없지만. 2007년 사적 제479호로 지정되였다, 여기가 행궁지(行宮址)다, 행궁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고난 후 도성의 방위 ..

2021년 6월 6일, 6월 첫주일이자 현충일이다, 현충원 참배는 5월에 이미 다녀 왔어니 오늘은 북한산 나들이다, 산성계곡 무장애 탐방길로 들어간다, 무장애탐방길은 여기까지? 데크계단을 가파르게 올라가야 하는길, 북한천을 따라 올라가는 길은 잘 만들어 놓기도 했지만 계곡을 흐르는 물은 여전히 맑고 깨끗하다, 사진에 보이는 이곳은 북한산성내 수문터다, 아미타사로 들어가는 입구 북한천을 건너가는 원효교가 있다 원효교 앞으로 북한동역사관 마당으로 올라왔다, 이어서 북한산성입구 갈림길에서 오른쪽 대남문방향으로 올라간다, 사람들이 줄지여가고 있는 왼쪽 방향은 보리사를 지나 백운대로 가는 길이다, 북한천을 따라 올라가는길, 이름은 북한천이지만 오래동안 북한산계곡이라 불리든 천 을따라 계속해서 올라가다 보면 오른쪽..

삼천사에서 가사당암문으로 올라와서 의상능선 3峰(증취, 용혈, 용출)과 북한산성 2城門(부왕동, 가사당)을 지나 백화사 하산길로 북한산초등학교를 지나 산성입구로 간다, 시작은 부왕동암문(扶王洞暗門)이다, 암문은 상부에 문루(門樓)가 없다, 암문출입문은 일반적으로 사각의 문인데 부왕동 암문은 무지개모양의 홍예(虹霓)형태다. 원래는 문짝이 있었으나 지금은 없어지고, 문짝을 달았던 원형의 지도릿돌과 일반문의 빗장에 해당되는 장군목을 걸었던 방형 구멍이 남아있다. 여기는 부왕동암문 위 여장이다, 이제 증취봉으로 해서 가사당암문 방향으로 간다, 부왕동암문에서 오른쪽으로는 의상능선 나월봉과 나한봉, 삼원봉, 청수동암문을 지나 대남문까지는 1,5km이고 왼쪽으로 의상능선을 따라 증취봉과 용혈봉, 용출봉, 가사당암문을..

3호선 연신내역 3번출구 연서시장 버스정류장에서 7211버스로 하나고등학교 앞에서 내려 오른쪽 한옥마을을 지나 천년의 고찰 삼천사로 들어간다, 부처님오신 날을 기념한 연등탑이 그대로 있다, 삼천사로 들어가는 길은 삼천리골 입구에서 부터 시작이다, 삼천리골 마을길을 따라 삼천사로 간다, 여기쯤에서 차도는 왼쪽길이고 보행로는 직진이다, 직진과 왼쪽으로 나누어진 길은 삼천사로 들어가는 미타교 직전 삼거리에서 다시 합류된다, 가는길에 보이는 의상능선 증취봉 오늘은 저곳으로 가는 날이지만 보이는것 만으로도 아름답다, 삼천사계곡을 따라 차도와 인도가 길게 이어진다, 삼천사입구 삼천사소개가 있다, 삼천사는 서기661년(신라 문무왕1) 원효(元曉)대사가 개산(開山)했다, 1482년(조선 성종12)에 편찬된 동국여지승람..

지하철 3호선 불광역2번 출구에서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한국행정연구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등이 몰려있는 지역을 지나 북한산 래미안아파트 앞을 지나가고 북한산생태공원도 지나서 구기터널방향으로 가는 도로 인도를 따라 계속해서 올라간다, 불광역2번출구에서 구기터널 앞 까지는 약 1,6km 다 터널 앞 돌계단을 따라 조금 올라가면 북한산 기슭 탕춘대성 아래 구기터널계곡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작은 물 웅덩이를 만들고 있는데 물은 맑고 깨끗하기도 하지만 깊은 산중에서 보는 계곡물과도 차이가 없다, 구기터널 입구에서 돌계단 몇 개를 올라가면 북한산구기터널입구 분기점 지킴터가있고 초소 앞은 구기터널계곡이다, 여기서는 구기터널계곡을 따라 비봉과 족두리봉으로 연결되기도 하지만 약 1km거리에 있는 각황사로 가는 길이기도 하다..

요즘에는 나가는 것도 조금은 미안하지만 그렇다고 안나갈수도 없어서 근처에 있는 동네산으로 나갔다, 강서구 화곡동에 있는 봉제산으로 산 능성을타고 정상으로 갔다가 돌아온게 아니고 봉제산 둘레길을 걸었다 말 그대로 둘레길은 산을 한바꾸 돌아오는 길이니 작은 산이지만 작은 거리는 아니다, 공교롭게도 배터리가 꺼지는 바람에 출발 1시간후에 GPS 기록도 멈추고 핸폰 사진도 찍을수 없엇다, 오늘은 폰이 꺼지기 전까지의 기록만이다, 대일고등학교에서 출발해서 3km 정도를 갔더니 방전되여 폰이 꺼젓다, GPS기록도 멈춰지고 사진도 찍을수 없었다, 동네한바퀴도는 길이라 카메라도 안들고 나갔기 때문이다, 당연히 거리 실측도 3km에서 멈첫다, GPS에 찍힌거리 3km는 출발 지점에서 GPS꺼진 지점까지의 거리며 실제 답..

불광역 2번출구에서 한국행정연구원과 북한산래미안APT를 지나서 북한산둘레길 구름정원길 구간으로 족두리봉으로 간다, 북한산 하늘전망대가 있다는 이정목도 지나가면 북한산둘레길 8구간인 구름정원길 포토포인트가 있는 곳에 하늘전망대가 있다, 하늘만큼 높지는 않아도 하늘에서 보이는것 처름 넓은 지역을 조망할수 있다는 뜻에서 하늘전망대라 불리는 곳에서 월드컵경기장 방향과 일산 방향 그리고 구파발 지역이 내려다 보인다, 하늘전망대를 지나가는 길에는 구름정원길에서 가장 아름다운 구간이라는 데크길이 있다, 데크길이 끝나는 지점 북한산 족두리봉으로 올라가는 길 초입은 평범한등산로 인것 처름 보인다, 2020년 여름은 유난히도 장마가 길었다, 장장 두달이나 이어진 물폭탄에 전국이 많은 수해를 당한 시기기도 하고 초봄부터 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