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국내 山行日記/서울·북한·도봉 (294)
물흐르듯이 순리대로

지하철 1호선 망월사역 3번출구로 나가면 신한대학교 의정부 캠퍼스가 있다, 신한대학교 앞으로 원도봉계곡으로 가다가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 아래서 첫번째 망월천교를 지나서 들어가면 도봉산 대원사가 있는데 대원사를 지나 조금만 더 올라가면 원도봉 쉼터가 있다, 원도봉 쉼터인 이곳에서 도봉산 다락능선 길이 시작이 된다, 원도봉쉼터 일대는 화장실은 기본이고 북한산국립공원 도봉사무소도 있는 곳이다, 탐방로 안내를 보면 이곳 삼거리에서는 오른쪽으로 가면 망월사로도 갈수 있어며 직진을 하면 다락능선이다, 다락능선으로 올라간다, 도봉산 삼원사 간판이 있는 방향으로 절이 있어니 삼원사까지는 절을 찾는 신도들을 위한 길이 잘 정비되여 있다, 서서히 고도가 높아지는 길이지만 삼원사 까지는 차도 들어간다, 삼원사 일주문? 이..

사패산정상에서 내려가서 사패산 능선길로 포대능선으로 간다, 능선을 따라 가는길에 드문 드문 단풍도 보인다, 사패산에서 900m지점을 지나가면 보이는 곳은 회룡사로 내려가는 길과 송추주차장으로 가는 길이 있는 능선 사거리다, 사거리에서 가는길 직진으로 도봉산 정상인 자운봉으로 가는 길을 따라간다, 잠시 올라가다가 뒤로 돌아보니 좌측으로 조금전에 올랐든 사패산 정상과 그 옆으로 갓바위가 보인다, 사패산에서 포대능선으로 가는 길은 소나무와 잡목이 숲을 이루고 있는 길이다, 잠시 능선을 벗어나 오른쪽 허리길로 들어가면 이른 봄까지는 눈이 녹지 않는다는 응달진 길이 대부분이기는 하지만 가끔은 의정부 시내가 조망되기도 하고 오름길 이기는 하지만 서서히 단풍이 내려 앉는 듯한 아늑한 길이다, 올해는 여름 날씨에서 갑..

2021년 6월 13일부터 10월 31일까지는 치악산둘레길과 치악산을 이어서 기록하느라 중간중간에 다녓든 산행일기가 미루어저서 지금에야 정리를 한다, 2021년 10월 24일 회룡역 1번출구에서 사패산으로 간다, 의정부경전철 아래 회룡천변으로 가다가 의정부시 호원동 미도아프트 앞으로 해서 호원2동 행정복지센타를 지나 서부로 아래 지하도로 들어간다, 지하도를 나가면 북한산둘레길 아치문이 있는데 이 문으로 들어가서 서부로 옆길로 석천골지킴터 방향으로 간다, 이길은 북한산둘레길 사패산구간 길이다, 북한산둘레길이라 이렇게 데크길도 만들어저 있고 예전에는 오솔길이 였지만 북한산 둘레길을 만들면서 이렇게 만들어 놓은 길이다, 북한산둘레길을 따라가다가 둘레길 오른쪽길로 들어가면 사패산 등로다, 사패산 등로는 산길이니..

지하철 2호선 서울대 입구역에서 서울대학교 방향으로 가는길 관악구청을 지나간다, 서울대입구역 3번출구에서 서울대학교까지는 약 2km 정도 거리다, 관악소방서도 지나가고 소방서옆에 있는 문영학원도 지나간다, 이 학교는 1905년 을사늑약을 끝까지 반대하든 참정대신 한규설이 민족의식의 고취와 독립사상의 배양을 위하여 이상재, 최규동, 남궁훈 등 100여 명과 함께 조선교육회를 창립하고 1926년에 종로구 견지동에 개교한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실업교육기관인 경성여자상업학교다, 지금은 이 자리로 옮겨와서 서울문영여자중학교, 서울문영여자고등학교, 서울문영여자상업고등학교가 있다, 학교법인 문영학원을 지나서 낮은 언덕을 넘어간다, 서울대입구역에서 서울대학교까지는 버스로는 금방 갈수있지만 시간이 다소 여유가 있다면 걸어..

서울대학교 옆 계곡이 있는 곳은 관악산 공원이다, 관악산공원 일주문을 지나서 들어간다, 잘 정비되여 있는 공원길을 두고 계곡을 따라 올라간다, 비교적 자주오는 곳이지만 계곡을 따라 올라가는 것은 처음이다, 여름이니 날씨가 덥기도 하지만 오늘따라 아침부터 비가 내리는 날이라서 가는데 까지만 가볼려고 한다, 여기는 관악산과 삼성산 중간의 계곡으로 늘 물이 많은 계곡이다, 물이 깨끗하니 여름철 주말에는 아이들과 함께오는 가족들도 많아서 보기에는 좋은데 쓰레기도 치우지 않고 가는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일지 궁금하다, 비가와서 인지 계곡에 살고 있는 초목은 싱그럽기만 하다, 여기는 단풍나무가 많이 자라고 있다, 오리 식구도 살고 있다, 6마리나 된다, 가는길 왼쪽으로는 처음부터 옹벽이 길게 이어지는데 옹벽 위는 서..

관악산정상은 연주암 응진전이 있어 연주대(戀主臺)로 불린다, 관악산 정상은 이곳이다, 암반에서 올라오는 열기가 한증막이다, 진짜 관악산정상은 해발632m인 기상관측소 앞 영주대(影炷臺)다, 629m인 연주대(戀主臺)는 관악산 정상부이고 영주대(靈珠臺)가 관악산정상이다, 기상관측소↓앞 심지형태의 불꽃바위가 영주대(影炷臺632m)다, 연주대를 나가면 기상관측소로 들어가는길 왼쪽으로 연주암으로 내려가는길과 오른쪽으로 서울대방향으로 내려가는 길이있다, 오른쪽 서울대 방향으로 내려 간다, 길은 시작부터 줄을 잡고 내려가거니 앉아서 내려가야할 정도로 급한 경사길이다, 이 길은 45도 쯤되는 경사진 암반을 미끄려지듯이 내려와야 한다, 이어서 잠시 숲길로 들어가면 기상청 헬기장이 있다, 공사용 자재를 헬기로 실어와서 ..

관악역 7번 출구를 나가서 직진을 해서 과천향교로 간다, 오늘은 과천향교에서 관악산을 오른다, 과천향교앞 계곡인 관문천이다, 수량이 많지 않은 계곡이지만 아침 8시인데 계곡을 찾은 사람들이 모여들어 여기저기 그늘진 곳에 그늘막을 치고 하루를 즐길 준비를 하는게 보인다, 일요일이고 방학이다 보니 아이들을 데리고 나온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관문천계곡 다리를 건너면 과천향교(果川鄕校)가 있다, 과천중앙동81, 과천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을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국립교육기관이다, 조선 태조 7년(1398)에 처음 지었고 숙종 16년(1690)에 과천 서이면에서 지금 자리로 옮겨왔다, 1944년에는 시흥향교, 안양향교, 과천향교를 통합 시흥향교로 불리다가 1996년에 과천향교로 복원했..

불광역2번 출구에서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한국행정연구원을 지나 북한산힐스테이트APT 앞으로 해서 북한산생태공원으로 들어간다, 북한산생태공원은 북한산둘레길 7구간 옛성길 이다, 북한산생태공원에는 은평지역 관광 안내판이 보이는데 은평구소재 관광지가 빼곡히 안내되여 있다, 안내되여 있는 각각의 장소는 일일이 찾아 다니지는 않았지만 스처지나가 보기는 한 것 같은 낮설지 않은 곳들이다, 불광역2번 출구 직진으로 이어지는 길은 구기터널로가는 길이다, 구기터널은 은평구와 종로구 경계기도 하다, 구기터널가기 전 불광동은 은평구며 구기터널을 지나 있는 구기동은 종로구다, 불광역2번 출구에서 구기터널 입구까지는 약2km정도다, 오늘은 구기터널입구 왼쪽 800m 정도에 있는 각황사 방향으로 올라간다, 각황사로 들어가는 입구에..